CCD란?
고체촬영소자. 전자 결합 소자.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의 일종으로 빛의 세기에 따른 전압 변동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검출한다. 빛의 세기에 따라 전하의 양이 달라져 빛의 양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빛의 명암만을 판단 할 수 있으며 컬러 정보는 검출해내지 못한다. 여기에 RGB나 CMYK의 색을 가진 필터를 씌워서 컬러정보까지 얻어내게 된다.

필름에 해당하는 디지털카메라의 CCD
디지털 카메라가 필름카메라와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으로 렌즈부를 통과한 빛이 필름이 아니라 이곳 CCD에서 전기적 신호로 바뀌면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아날로그)를 출력한 후 A/D컨버터라는 곳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메모리 카드라는 저장 장치에 저장되게 된다. CCD가 크면 클수록 빛을 받아들이는 면적이 커지므로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가 있으나 반도체의 일종인 CCD 제조비가 올라가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일반 필름카메라에 비해서 짧은데 그 이유는 필름에 비해 작은 CCD가 렌즈를 통과한 빛을 모두 받기 위해서는 그 위치를 렌조에 보다 가깝게 할 수 밖에 없기 때이다. 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를 인치로 나타낸 것이 CCD의 크기이다.

 

CCD는 이미지의 흑백만을 판별하기 때문에 색상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렌즈와 CCD사이에 3개의 컬러 필터를 위치시켜서 각각의 필터에서 색상 정보를 얻은 후 이를 취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성된 색상 정보를 얻게된다. 필터는 용도와 취향에 맞게 따라 선택한다.

원색계 필터(RGB필터)
원색=빛의 삼원색 빨강, 초록, 파랑(RGB)
색상 재현력이 우수하나 대신 이미지의 선명성 떨어져서 경계부분등이 다소 불명확해 보인다.

보색계 필터
보색=시안, 마젠터, 엘로우, 그린(CMYK)
이미지의 선명성이 뛰어나나 색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다소 밋밋한 색상을 보여준다. 그러나 세부묘사력은 보색계 필터가 우수한 편이다.

적외선 필터
적외선 필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CCD에는 인간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적외영역의 빛에 대해서도 반응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영억의 눈에 보이지 않는 광선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로우패스(low pass)필터
나무의 세밀한 가지나, 백색종이위의 검은 활자등의 공간주파수가 높은 성분을 제거하고 색의 변질이 나타니자 않도록 하는 중요한 필터이다.

 

이미지를 나타낸느 최소단위.
CCD에 몇 개의 화소가 집적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300만화소의 디지털 카메라라면 1개의 CCD에 300만 화소를 집적시킨 것이다.

 

촬영한 포토를 모니터 상에서 볼 때, 가로×세로 픽셀수의 의미하는 것으로 해상도가 1600×1200이라면
가로의 픽셀수가 1600개, 세로의 픽셀수가 1200개인 상태로 모니터에 보여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치가 크면 클수록 수치가 높다고 할 수 있겠다. 300만화소급이라는 말은 가로와 세로를 곱한 값(총 필셀수)이 300만 개 정도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분명히 300만 화소급이라는 사양을 보고 구입했는데, 모니터에 나타나는 해상도인 가로와 세로의 곱한 수치가 300만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은 CCD에 집적되어 있는 픽셀의 총 개수보다 적은 수의 픽셀들만이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고 나머지 픽셀들은 기타 여러 작업을 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인데 이와같이 실제적으로 모니터에 보여지는 해상도를 "유효해상도"라 합니다.


 
Copyright ⓒ 2001-2002 by Human n Digital. All rights reserved.
고객지원실 : (053) 952 - 7408, 관리자메일 : hnd@h-d.co.kr
기타 의문사항이나 문제점등은 고객광장에 올려주십시오.